본문 바로가기
집현전/잡학

낯가리다 낮가리다의 올바른 표기법과 뜻. 국립국어원의 공식 지침과 사례

by show쇼 2024. 8. 16.

'낯가리다'와 '낮가리다'는 사람들이 자주 혼동하는 단어입니다. 하지만 올바른 표기법은 따로 존재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낯가리다'와 '낮가리다'의 정확한 표기법과 뜻을 알아보고, 자주 헷갈리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낯가리다 낮가리다

 

 

1. 낯가리다 뜻과 올바른 표기법

'낯가리다'는 표준어로, '낯'과 '가리다'가 결합된 단어입니다. 여기서 '낯'은 사람의 얼굴이나 외모를 가리키는 단어이며, '가리다'는 특정한 상황이나 대상에 대해 선별하거나 구별하는 동사입니다. 따라서 '낯가리다'는 낯선 사람이나 환경에서 거리감을 느끼고, 쉽게 다가가지 못하는 성향을 나타냅니다. 즉, 타인과의 첫 만남이나 낯선 상황에서 주저하거나 어색해하는 성격적 특성을 설명하는 단어입니다.

 

이 단어는 심리학적 측면에서도 주목할 만한데, 심리적으로 '낯가림'은 대개 사회적 불안이나 내향적인 성격에서 비롯됩니다. 사람마다 낯가림의 정도는 다르며, 이는 어린 시절의 경험, 타인과의 상호작용 방식, 성격적 기질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형성됩니다. 낯가림이 심한 사람들은 종종 처음 만난 사람들과 쉽게 친해지지 못하고, 대화를 시작하거나 상대방과 눈을 마주치는 것을 어려워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어린아이의 경우 낯선 사람을 만났을 때 부모나 보호자 뒤에 숨거나 말을 하지 않으려는 행동이 흔히 관찰되는데, 이를 '낯가림'이라고 부릅니다. 이와 같은 행동은 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줄어들 수 있지만, 성인이 되어서도 지속될 수 있습니다. 성인들의 경우에는 직장 내 회의나 새로운 모임에서도 낯가림이 나타나는데, 이는 사회생활을 하면서 종종 문제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2. '낮가리다'는 틀린 표현입니다

'낮가리다'는 흔히 잘못 쓰이는 표현으로, 논리적으로나 언어적으로 맞지 않습니다. '낮'은 하루 중 해가 떠 있는 시간대인 '낮'을 뜻하는데, 이와 관련된 동사로 '가리다'를 붙이는 것은 어색한 조합입니다. '낮가리다'는 아무런 의미가 없는 표현이므로, 잘못된 사용을 피해야 합니다.

 

 

 

 

 

 

국립국어원 공식 지침 검색

 

 

 

 

 

 

3. 왜 '낯가리다'와 '낮가리다'가 헷갈릴까?

'낯'과 '낮'은 비슷한 발음 때문에 사람들이 자주 헷갈리는 단어입니다. 한국어의 특성상 발음이 비슷한 단어들이 많고, 특히 받침이 'ㅊ'과 'ㅈ'으로 끝나는 단어들은 발음상 큰 차이가 나지 않기 때문에 혼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일상 대화에서는 정확한 발음 구분이 어려울 수 있어 '낯가리다'를 잘못 발음하거나 표기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합니다. 이 혼동은 특히 인터넷 댓글이나 채팅과 같은 비공식적인 글쓰기 상황에서 더 자주 나타납니다. 하지만 공식적인 글이나 문서, 혹은 교육적인 콘텐츠에서는 반드시 올바른 표기인 '낯가리다'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잘못된 표기인 '낮가리다'는 국립국어원의 표준어 규정에도 맞지 않으며, 의미적으로도 전혀 다른 단어이기 때문에 이러한 실수를 줄이기 위한 교육과 관심이 필요합니다.

 

 

 

 

 

 

4. '낯가림'의 심리적, 사회적 배경

낯가림 현상은 인간의 본능적 방어 기제로도 설명할 수 있습니다. 낯선 사람을 경계하는 것은 생존 본능의 일환으로, 원시시대부터 외부의 위험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낯선 환경이나 사람에 대해 경계심을 갖는 것이 자연스러운 현상이었습니다. 이러한 경계심이 현대에도 남아, 새로운 사람을 대하는 데 있어 어려움을 겪는 성향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심리학적으로 보면, 낯가림은 사회적 불안장애(Social Anxiety Disorder)와 연관될 수 있습니다. 사회적 불안장애는 다른 사람들 앞에서 평가받는 상황에 대한 강한 두려움을 느끼는 상태로, 이러한 두려움이 강한 사람들은 낯선 사람과의 만남에서 심리적 불편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태는 사회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또한 낯가림은 문화적인 요인과도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 문화에서는 비교적 내향적인 성격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많은 사람들이 낯을 가리는 것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며, 타인과의 신속한 교류를 강요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서양 문화에서는 외향적이고 적극적인 성향이 더 선호되는 경향이 있어, 낯가림이 사회적인 단점으로 인식될 가능성이 큽니다.

 

 

 

 

 

 

 

5. 국립국어원의 공식 지침 및 사례

국립국어원은 '낯가리다'가 맞는 표현임을 명확히 규정하고 있습니다.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서 '낯가리다'는 "낯선 사람을 대하기 어려워하다"라는 뜻으로 명시되어 있으며, 반대로 '낮가리다'라는 단어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는 언어 규범상에서도 '낯가리다'만이 표준어로 인정되고 있으며, '낮가리다'라는 표현은 오류임을 알 수 있습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이러한 잘못된 표현을 바로잡기 위해 꾸준히 대중 교육과 홍보를 진행하고 있으며, 잘못된 표현을 바로잡는 것 역시 국어 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임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낯가리다'는 낯선 사람이나 환경에서 어색해하거나 거리감을 느끼는 성향을 의미하는 올바른 표현입니다. 반면 '낮가리다'는 잘못된 표기로, 뜻이 맞지 않으므로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발음이 비슷해 헷갈릴 수 있지만, '낯가리다'가 표준어로 인정되며 국립국어원의 공식 지침에서도 이를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낯가림은 개인의 성격, 심리적 요인, 그리고 문화적 배경에 따라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정확한 언어 사용은 더 나은 의사소통을 위한 첫걸음이나, 올바른 표현을 사용하도록 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