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집현전/역사

이스터섬의 원주민은 식인종? 폴리네시아인의 모아이석상 진실을 밝혀라!

by show쇼 2022. 9. 22.

기괴한 모습의 거인들이 외딴섬을 둘러싸고 있다. 비정상적인 큰 귀와 굳게 다문 입술의 무표정을 하고 있는 모아이 석상의 얼굴은 어딘가 모르게 섬뜩한 기분이 드는데, 이 석상의 미스터리한 부분은 이 석상들은 모두 해변가에 있으면서도 섬의 안쪽을 향해 바라보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생긴 모습과 함께 막상 땅 속에 박혀 있는 크기까지 더해지면 높이가 무려 12m에 무게는 80톤에 육박하는 엄청난 크기로 인해 세계인들의 탄성과 함께 불가사의로 여겨지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나무 한 그루가 없는 황량한 작은 섬에서 이 엄청난 크기의 모아이 석상들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옮겨졌는지에 대한 다양한 속설들이 전해지고 있는 것이다.

 

이스터섬식인종 모아이석상
이스터섬식인종 모아이석상

이스터섬의 알려진 역사

원래는 울창한 숲으로 이뤄져있던 섬이었지만, 이제는 나무 한 그루 없는 황량한 땅으로 변해 있는 것과 함께, 여러 곳에서 보이는 쓰레기 더미에서는 인간의 뼈도 흔하게 발견되고 있다. 학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이스터 섬은 최초 화산 폭발에 의해 생겨난 섬으로 서울 면적의 1/4 정도의 작은 섬이다. 또 태평양의 한가운데 위치하고 있으며, 세상의 끝이라는 표현이 있을 정도로 육지와의 교류가 전혀 없었던 미지의 섬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스터 섬의 초기에는 거대한 야자수가 무성하고, 화산 폭발로 인한 토양이 상당히 비옥한 곳이었다. 이런 축복받은 땅에는 약 50여 명의 폴리네시아인이 인류 최초로 정착하게 되는데, 당시에는 섬이 굉장히 울창하고 식량이 풍부했으며, 이런 풍요로운 땅에서 안정적으로 정착하게 되면서 원주민의 사회는 꽤 조직화되어 있었다. 

이때부터 그들은 모아이 석상을 제작하기 시작했는데, 최초 50명의 인구가 계속해서 늘어남에 따라 부족 간의 경쟁이 극심해 지면서 지배층들은 더욱 큰 모아이 석상을 만들어 내면서 그들의 권위를 과시하는 풍습이 만들어졌다고 한다. 실제 초기에 만들어진 석상의 크기는 불과 4m에 불과했지만 점차 경쟁이 극심해지면서 최고 20m 크기에 90톤이 넘는 석상이 만들어지기도 하였다. 이 모아이 석상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섬 주위에 가득 채우게 되었는데, 여기서 궁금한 점은 이 엄청난 크기의 석상을 당시의 기술로 원주민들은 어떻게 만들고 해안 가까이로 어떻게 옮겼느냐 하는 것이다.

 

이스터섬식인종 모아이석상
이스터섬식인종 모아이석상

모아이 석상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해안으로 옮겨 졌을까?

먼저, 모아이 석상은 거대한 돌을 직접 깎아서 조각된 것으로 이때 사용한 도구 역시 돌로 만든 도끼라는 것이 발견되었다고 한다. 화산섬인 탓에 주위에는 흔한 현무암으로 석성이 만들어졌지만 나중에는 겉은 단단하고 속은 부드러운 응회암으로 만들어졌다. 이스터 섬의 중심산에서는 실제 돌을 자를 때 사용했던 흑요석 도구들이 발견되고 있으며, 채석장에는 모아이 석상이 만들어지다 미완성이 상태로 누운 형태로 남아있는 것이 있다고 한다. 그럼 이렇게 조각된 바위 덩어리는 도대체 어떻게 옮겼을지 하는 것이 지금 학자들이 가장 궁금했던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모아이 석상을 옮기는 데는 두 가지의 가설이 있다.

첫 번째는 이미 많이 알려진 사실로, 울창했던 숲의 나무를 이용한 것이다. 나무를 둥글게 깎아 바닥에 깔고는 레일처럼 이용해 큰 석상을 끌어내렸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가설이 완벽하게 인정받지 못하는 이유는 이스터 섬의 땅은 평평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울퉁 불퉁한 지면 탓에, 나무가 석상의 무게를 버티지 못하고 도중에 부러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때문에 최근 발표된 두 번째 가설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데, 바로 밧줄을 이용해 석상을 걸음마시켰다는 것이다.

석상을 밧줄로 묶은 뒤 양쪽에서 교대로 잡아당기게 되면 모아이 석상이 마치 걷는 듯이 옮겨졌다는 것인데, 실제 이스터 섬의 원주민의 옛이야기에 의하면 모아이는 마치 마법처럼 살아서 걸어 다니는 것처럼 보였다고 증언한 사실이 있다. 사실 모아이 석상의 밑동 부분은 둥글에 조각되어 이 가설에 신빙성을 더하고 있다. 하지만 이 가설에도 한 가지 문제가 있는데, 90톤이나 되는 이 엄청난 석상을 도대체 몇 사람이나 붙어야 뒤뚱거리면서 옮길 수 있을지는 아직까지도 완벽한 증거가 나오지는 않고 있다.

 

이스터섬식인종 모아이석상
이스터섬식인종 모아이석상

끔찍한 역사를 간진한 이스터 섬

이렇게 궁금증이 많은 이 외딴섬에는 또 하나의 미스터리가 남아 있는데, 초기에 그렇게 울창한 나무 숲을 간직했던 이스터 섬에는 나무가 모두 사라지고 황량한 벌판과 석상만이 덩그렇게 놓여 있다는 것이다. 사실 모아이 석상이 활발하게 만들어지고 있던 시기에는 최초 50명의 폴리네시아 인들이 무려 17,000여 명이나 될 만큼 인구가 증가한 상태라고 한다. 인구 증가는 곧 이 섬의 인구 포화 상태가 되면서 식량의 부족에 의해 농경지를 계속해서 개간해 가면서 어획을 위한 배가 많이 필요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엄청난 수의 나무가 사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자원도 점차 고갈되어 간 것이라는 가설이 있다. 또 한 가지는 이 섬에 인간이 정착하면서 함께 번식을 했던 폴리네시아 쌀 쥐에 의한 것이 크다고 연구되었는데, 이 쥐는 폴리네시아 인들의 주요 식량으로 길렀는데, 이 섬에는 쥐의 천적이 없을 뿐만 아니라, 땅에 떨어진 모든 씨앗을 먹어치우면서 점차 나무들이 싹을 틔우지 못하는 환경이 되어 버렸던 것이다. 실제 지금 발견되고 있는 당시의 야자열매에 쥐의 일빨 자국이 발견되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이스터섬식인종 모아이석상
이스터섬식인종 모아이석상

배고픔에 굶주린 이들이 선택한 것은 식인?

이렇게 숲이 사라지면서 나무가 없어 배와 사냥도구를 만들지 못했던 이들은 결국 끔찍한 짓을 저지르게 되는데, 바로 사람 고기에 눈을 돌리게 된 것이다. 이스터 섬의 후기에 발견되는 쓰레기 더미에서는 사람의 뼈가 흔하게 발견되고 있다. 또 이 섬의 언어를 연구하는 학자들에 의하면 이스터 섬의 언어 중에는 식인에 관련된 어구가 많이 남아 있을 정도로 식인이 일반적이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그중 한 가지 문장이 눈길을 끄는데 "아침에 먹은 너의 엄마 살이 이빨이 끼었다"라는 모욕적인 말이 있다고 한다. 이렇게 식인종 문화가  보편화된 이스터 섬의 문화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이스터 섬의 역사를 연구하면 할수록, 혐오스럽고 모아이 석상을 증오하게 된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갈수록 굶주림에 지친 이스터섬의 원주민들은 결국 반란과 부족 간의 전쟁이 발생하고, 기근과 식인, 전쟁이 반복되면서, 인구는 갈수록 줄어가고, 살아남은 사람들은 고작 1,000~2,000명 정도, 결국 18세기가 되면서 영국의 탐험가 '제임스 쿡'이 이스터 섬을 발견하게 되고, 역시 유럽의 천연두와 매독은 마야인들의 멸종을 가져왔듯이 이스터 섬의 거의 모든 원주민에게 전염되었고, 대부분의 폴리네시아 인들은 사망하게 되었고, 결국 이스터 섬의 고대 문자를 읽을 수 있는 사람이 거의 없어지면서 이 섬의 역사는 사라지게 되었다고 한다. 이렇게 전영병으로, 또는 유럽의 노예로 팔려가게 되면서 폴리네시아 인들의 이스터 섬은 곧 죽음의 섬이 되고 말았으며, 이후 칠레가 이스터 섬의 영유권을 주장하게 되면서 오직 돈벌이를 위한 관광지로 발전하고 기존의 원주민들이 아닌 칠레 이주민들의 섬이 되고 말았으며, 여전히 소수의 원주민은 어려운 생활을 간신히 이어가고 있다고 한다.

반응형

댓글